상추 키우기
-
상추 실내 수경재배 - 6. 매일 20장씩 먹는 중수경재배 2022. 5. 1. 20:36
물푸레양액을 700~1000배 정도로 대충 주고 있다. 아무래도 빛의 양이 모자란지 웃자람이 다소 있다. led 2개로는 부족한 듯.. 2일간 집을 비우느라 빛을 챙겨주지 못 한 사이에 한 포기에서 저만큼 줄기가 자랐다. 정말 깜짝 놀랐다. 내가 아는 상추 이미지에 저런 줄기는 없었기 때문.. 저 개체가 유독 심한 편이다 비교적 햇빛을 더 많이 받고, 필립스 식물등을 직빵으로 쬐는 것들은 저런 줄기가 없거나 매우 짧다. 아무래도 빛이 모자라서 나타나는 현상 같다. 비료가 많은 것도 웃자람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여, 남아있는 양액에 맹물을 좀 타 주려고 한다.
-
상추 실내 수경재배 - 5. 수확과 시식수경재배 2022. 4. 19. 19:26
씨를 뿌린 지 한 달이 지났다. 벌써 두 번이나 수확해서 먹음. ㅋㅋㅋ 어느 순간부터 폭발적인 속도로 자라기 시작했다. 뿌리가 튼튼하게 많이 내려서 그런지 물도 금방 금방 사라진다. 너무 빽빽하기도 하고 해서 좀 뜯어 상추 무침도 해 먹고 비빔밥에도 넣어 먹었다. 사 먹는 상추보다 훨씬 연해서 식감이 부족한 느낌이랄까.. 아직 덜 자란 것인지, 집 안에서 키워서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다. 상추 특유의 쓴 맛이 없고 연하다. 그래서 양념해서 무쳐 먹으니 매우 맛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큰 잎을 많이 솎은 상추에서 작은 새 잎이 많이 나더라는 점.. 영양분이 남아서 그런가..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5~30일이면 수확한다는데, 모종 기준인 듯 하다. 나는 씨앗부터 키웠기 때문에 아직 수확하기에 이른 시기일지도 ㅋ..
-
상추 실내 수경재배 - 4. 제법 커짐수경재배 2022. 4. 10. 22:31
상추 씨앗 발아를 시도한 날로부터 약 3주가 지났다. 4월 8일 4월 9일 4월 10일이다. 물푸레 양액을 800:1로 올려주었다.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고 있다. 필립스 식물등을 켜 주어서 그런지 웃자람도 없으며, 색상도 진하진 않지만 나오고 있다. 뚜껑을 열면 이렇게 뿌리가 풍성하게 자라 있다. 뿌리 끝에 갈색 점이 있는데 모든 상추가 그런걸 보면 정상인 듯. 아마 뿌리골무 같은 식물조직이지 않을까 싶다. 이제는 스펀지에 물이 닿지 않게 수면을 낮추어도 될 것 같다. 스펀지에 물이 닿으면 녹조 등 원치 않는 생물이 성장할 수 있다고 한다.
-
상추 실내 수경재배 - 3. 미니어처 상추수경재배 2022. 4. 6. 23:33
본잎이 1장정도 났을 때부터 대림 물푸레 양액을 3000:1 희석하여 주었다. 흙이 없으므로 물에 영양제를 타서 주어야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사람이 맹물만 먹고 살 수 없듯이 식물도 맹물만 갖고는 살 수 없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C H O로 구성된 유기물은 공기만 퍼먹어도 구할 수 있지만, 각종 금속 이온 - 철, 칼슘, 마그네슘 등 - 과 질소(N)는 흙에서 얻어야만 한다. 수경재배용 양액은 그런 영양소를 공급한다. 다만 식물이 아주 어릴 때는 떡잎으로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므로 맹물만 준다. 사람이 모유와 이유식을 거쳐서 어른의 밥을 먹는 것과 비슷하다. 식물도 흡수기관(주로 뿌리)이 충분히 발달하기 전에 영양분을 주면 체해서 다친다. 12일차. 제법 자란 모습이다. 14일차 양액을 ..
-
상추 실내 수경재배 - 2. 떡잎 발생 ~ 본잎 나기 까지수경재배 2022. 4. 2. 15:12
상추 실내 수경재배 - 1. 씨앗 발아~떡잎 발생까지 :: 게으른사람의 블로그 (tistory.com) 상추 실내 수경재배 - 1. 씨앗 발아~떡잎 발생까지 식물 키우는 데 고려해야 할 요소 : 햇빛, 물, 온도, 영양 공급 씨앗이 발아하고 떡잎이 자라는 동안에는 햇빛, 물, 온도 위주로 관리하고, 영양 공급은 모종의 형태가 잡힌 후(본잎 난 이후)해도 geurum.tistory.com 7일째부터 14일째까지, 2주차 기록이다. 상추의 광보상점은 1500lx 광포화점은 25000lx라고 알려져 있다. lx : 빛이 얼마나 센 지 표현하는 단위 (빛의 밀도 개념) - 광보상점 : 죽지 못해 사는 최소한의 빛 (기초대사량 개념) - 광포화점 : 광합성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빛 (더 이상 먹어도 소화가 안 됨..